식품안전 지식

곰팡이로부터 안전한 식품 관리 방법

작성일 2024.11.27
조회수 1,583

식품의약품안전처국민 안심이 기준입니다.  겨울이라고 방심하지 마세요! 곰팡이로부터 안전한 식품 관리 방법여름철에는 음식이 빨리 상하기 때문에 보관과 관리에 신경을 쓰지만, 겨울이 되면서 식품 관리에 소홀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식품 내 곰팡이는 사계절 모두 발생할 수 있다는 거 알고 계신가요? 실제 이물 분석 데이터에 따르면, 겨울철에도 곰팡이가 많이 발생해요. 식품 내 곰팡이 분석 의뢰 현황 1월 12건, 2월 12건, 3월 4건, 4월 16건, 5월 8건, 6월 20건, 7월 16건, 8월 24건, 9월 8건, 10월 12건, 11월 40건, 12월 32건 출처 세스코 2023년 이물 분석 데이터겨울철에도 난방이나 가습기 사용으로 실내 온도 및 습도가 높고, 환기가 되지 않으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관리에 주의해야 해요.  그렇다면 곰팡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구매 시 주의 사항  적정량의 재료 구매   비교적 온도와 습도가 높은 주방이나 창고에서 식재료를 오랫동안 보관할 경우, 곰팡이가 생길 가능성이 높음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식재료는 필요한 양만큼 소량으로 구매해야 함  포장 상태 확인   ​포장지의 찢어지거나 구멍 난 부분을 통해 식재료에 곰팡이가 오염될 수 있음 식재료 구매 시 포장 상태를 확인해야 함보관 시 주의 사항  보관 온도 및 습도 관리   곰팡이의 성장 환경 상대습도 : 70~90%, 온도 : 22~30˚C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곡류, 콩류, 견과류 등은 습도 60%이하, 온도 10∼15˚C 이하에서 보관하세요  보관 기준 준수   냉장・냉동식품은 포장지에 표시된 방법에 따라 보관하지 않을 경우 곰팡이 발생 등 변질 우려가 있음 식재료의 냉장・냉동 등 보관 기준을 준수해야 함 냉장 10˚C 이하, 냉동 -18˚C 이하 저장 시 주의 사항  이격 관리   ​밀가루나 전분 등의 분말 제품 및 각종 가공식품 보관 시, 온도 차에 의해 이슬이 맺히면서 습기가 흡수되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음 벽이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보관해야 함  저장 공간 청결 유지   ​실내의 먼지 및 분진과 같은 각종 유기물은 곰팡이의 먹이가 될 수 있음 곰팡이는 냉장고 안에서도 번식할 수 있음 식품 저장 공간 및 냉장고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환기를 자주 시켜야 함취식 시 주의 사항  개봉 제품 밀폐 보관   여러 번 나누어 먹는 제품의 경우, 보관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변질될 수 있음 개봉하고 남은 음식은 밀폐 용기에 덜어 1회 섭취할 양만큼 나눠 밀봉하여 보관해야 함  ​곰팡이 제거 후 사용 금지   ​곰팡이가 핀 부분을 도려내더라도 곰팡이 포자와 독소가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분포해 있음 수 있음 팁. 곰팡이는 열에 쉽게 파괴되지 않아 가열하더라도 곰팡이 독소가 남아있을 수 있음 곰팡이가 핀 식재료는 반드시 통째로 폐기해야 함식품 위생은 계절을 가리지 않아요. 계절에 관계없이 곰팡이로부터 우리의 건강과 먹거리 모두 지켜보아요!

해당 정보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