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 지식

중금속 2

작성일 2014.12.01
조회수 4,418

니켈(Nickel)

어떤 물질인가요?

니켈은 매장량이 풍부한 천연 원소입니다. 순수한 니켈은 단단한 은백색의 금속으로, 대부분 스테인리스 스틸 제조에 사용됩니다. 이외에 철, 구리, 크롬, 아연 같은 금속과 결합하여 합금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런 합금은 동전, 장신구, 여러 가지 기구 등을 만드는 데 쓰입니다.

니켈은 염소, 황, 산소 같은 원소와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화합물은 물에 쉽게 녹으며 녹색을 띱니다. 니켈 화합물은 니켈 도금, 도자기 착색, 배터리 제조 등에 쓰입니다.

인체에는 어떤 영향을 주나요?

니켈로 인해 생기는 가장 흔한 부작용은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전체 인구의 10~20%가 니켈에 민감성을 보이며, 니켈과 접촉했을 때 발진 또는 피부염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피부염은 니켈과 닿은 곳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흔치는 않지만 니켈에 노출된 후 천식을 일으키는 사람도 있습니다.

니켈 정련이나 가공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 기능 감소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고용량의 니켈에 노출되면 폐 및 코의 부비강(sinus)에 암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로 어떤 경로로 인체에 흡수되나요?

니켈은 호흡, 식품 섭취, 피부접촉을 통해 체내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니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할 경우, 니켈 입자의 크기에 따라 폐나 혈액으로 들어가는 양이 달라집니다. 호흡을 통해 폐로 들어간 니켈의 약 20~35%가 혈액으로 흡수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니켈을 함유한 식품 섭취로 니켈에 노출되고, 그밖에 니켈을 함유한 장신구나 동전, 흙, 물(식수 포함) 등과 접촉함으로써 니켈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니켈은 식품보다는 음용수를 섭취할 때 40배 정도 많이 흡수되며, 소화되지 않은 니켈은 몸 밖으로 배설됩니다.

식품 내 니켈 함유량을 조사한 국내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카카오, 통밀 제품, 콩류, 종자류, 견과류, 밀기울, 녹차(홍차) 티백, 초콜릿, 감자칩, 밀가루, 원두커피 등에 비교적 높은 수치의 니켈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리기구 중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조리기구(예: 오븐팬, 구이팬 등)를 통해서도 식품으로 니켈이 용출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새 팬에서 산성 식품을 조리했을 때 용출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섭취 혹은 노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니켈이 함유된 장신구는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니켈에 접촉할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하는 사람이 일부 있습니다.

식품이나 식수를 통해서도 니켈에 노출될 수 있으나, 식품 및 식수의 니켈 함량은 매우 낮아서 현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닙니다.

국내외 기준이나 관련 정책은 무엇인가요?

국가한국EU캐나다미국일본
규격기준 및 규제금속제 용출규격:0.1mg/L 이하식수: 20 μg/L식수기준: -- 식수: 0.7mg/L (EPA)
- 병생수: 0.1mg/L (FDA)
식수기준: -
최종 개정일(고시일,작성일)2010년 현재1998.11.3 고시2010년 현재- EPA: 2006년 8월
- FDA: 2010년 현재
2010. 4~

언론에 비친 니켈 이슈 사례

- 방금 먹은 ○○때문에 `쇠독` 심해진다
- 낡은 조리기구 쓰다 가족들 중금속 중독?
- 산 많은 식품, 알루미늄 기구로 조리하지 마세요

비소(Arsenic)

어떤 물질인가요?

비소는 냄새나 맛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음식이나 물, 대기 중에 비소가 존재한다고 해도 일반적으로 알아채기 어렵습니다. 비소는 지구 표면에 널리 존재하는 천연 원소입니다. 산소, 염소, 황 등과 결합하여 무기비소 화합물을 생성하며, 동·식물에서는 탄소 및 수소와 결합하여 유기비소 화합물을 형성합니다. 무기비소 화합물은 주로 목재 방부제로 사용됩니다. 비소 처리 방부목은 일명 CCA 방부목이라 하여 현재는 생산이 중지되었지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사용되었습니다. 유기비소 화합물은 주로 목화밭과 과수원에서 살충제로 사용되었습니다.

인체에는 어떤 영향을 주나요?

일반적으로 무기비소가 유기비소에 비해 독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양의 무기비소를 흡입하면 목이나 폐에 자극이 생길 수 있고, 소량의 비소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구토, 혈액세포 생산 감소, 비정상적인 심장박동, 혈관 손상, 손·발에 바늘로 찌르는 듯한 감각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p>

무기비소가 피부에 닿으면 피부가 붉게 변하고 부을 수 있습니다./p>

많은 양의 무기비소를 섭취하면 사망할 수도 있으며, 피부암, 방광암, 폐암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어떤 경로로 인체에 흡수되나요?

사람은 보통 대기, 식수, 식품을 통해 소량의 비소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중 식품이 가장 큰 노출원으로 비소 함유량이 높은 식품으로는 해산물, 쌀/곡물, 버섯, 가금류 등이 있습니다.

해산물 중 어류 및 갑각류에 함유된 비소는 대부분 아르세노베타인(arsenobetaine)이라는 독성이 낮은 유기비소 화합물이며, 일부 해조류에는 독성이 강한 무기비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의 경우, 먼지나 흙을 먹음으로써 소량의 비소에 노출될 수 있으며 직업특성상 비소 생산 및 사용과 관련된 노동자, 폐기물 매립지 또는 비소가 풍부 지역 근처에 사는 사람, 비소 함유 농약이 사용되었던 지역에 사는 사람 등은 높은 수준의 비소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비소처리 방부목을 톱질할 때 나오는 먼지나 이를 태울 때 나오는 연기를 흡입하는 경우에도 비소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섭취 혹은 노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토양 및 물에 비소 함유량이 높은 지역에 살고 있다면, 오염되지 않은 물을 사용하도록 노력하고 가급적 흙에 접촉하지 않습니다.

비소에 노출되는 직업을 가지고 있을 경우, 옷, 피부, 머리카락, 도구 등에 비소를 묻힌 채 집에 가져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따라서 퇴근 전에 반드시 샤워를 하고 옷을 갈아입어야 합니다.

비소처리 방부목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는 톱밥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복, 장갑, 방진 마스크 등 보호 장비를 착용하도록 합니다.

국내외 기준이나 관련 정책은 무엇인가요?

국가한국EU캐나다미국일본
규격기준 및 규제- 용출기준: 0.1 mg/L(셀로판, 종이·가공지제, 목재류)
- 0.2g/L (금속재)
- 0.5ug/mL(옹기류) (2008.12)
- 시판 광천수 및 암반수 ML(maximum level): 0.005 mg/L (독일)
- 몇가지 식품첨가물불순물로서 ML 3mg/kg (EU 몇개국)
- 살충제 MRL(maximum risk level): 0.01mg/kg
식수기준:0.010 mg/L- 식수: 0.7mg/L (EPA)
- 병생수: 0.1mg/L (FDA)
- 주스류 0.05mg/kg
- 과일류 1.0mg/kg- 채소류 1.0mg/kg
- 식수0.01mg/L
최종 개정일(고시일,작성일)2010년 현재1998.12 고시2006년 설정- EPA: 2006년 8월
- FDA: 2010년 현재
2010. 4~

언론에 비친 비소 이슈 사례

- 충남도 "식품 · 먹는물 안전성 관리 강화"
- 정부 공급 퇴비 '중금속 덩어리'…최고 111배 초과
- ‘부적합 친환경비료’ 사후관리 구멍

메틸수은(Methylmercury)

어떤 물질인가요?

수은은 환경 중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크게 금속 수은, 무기수은, 유기수은의 세 가지로 구분합니다.

환경 중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수은 중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형태는 금속 수은, 황화수은, 염화수은, 메틸수은입니다.

일부 미생물은 환경 중 잔존하는 수은을 메틸수은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메틸수은은 민물 또는 바다 생선과 포유동물에 축적될 수 있어 섭취에 주의를 기해야합니다.

인체에는 어떤 영향을 주나요?

메틸수은을 섭취할 경우 신경계를 포함, 인체에 다양한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나 태아의 신경계는 어른에 비해 더 취약하기 때문에, 임신부 및 어린이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메틸수은의 인체 발암성을 입증할 만한 근거는 아직 없지만 1993년 세계보건기구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에서는 메틸수은화합물을 group 2B(인체 발암 가능물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어떤 식품에 주로 들어있나요?

메틸수은 대부분 생선이나 갑각류의 섭취로 일어납니다.

세균이나 바다의 식물성 플랑크톤, 균류 등의 미생물에 의해 무기수은이 메틸수은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렇게 생성된 메수은은 먹이사슬에서 어류에 축적되고, 그 다음으로는 생선을 먹는 동물, 사람 순으로 이동합니다.

때문에 특히 상어나 옥돔, 참치류 같이 크고 수명이 긴 생선은 작은 생선에 비해 메틸수은을 더 많이 함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섭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메틸수은이 축적될 수 있는 생선이나 갑각류의 섭취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임신부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의 경우 상어, 황새치류를 한 달에 한 끼 이상 먹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FDA 자문위원회는 특히 임신여성이 참치를 얼마만큼 먹는 게 안전한 지는 분명치 않지만 생선 중 참치만 먹을 경우 일주일에 참치 통조림 2개, 다른 해산물을 섞어 먹을 경우 참치 통조림 1개가 적당할 것이라고 권고했습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도 임산부나 가임여성, 유아 등은 메틸수은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냉동 참치와 옥돔 등을 주 1회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안을 밝힌 바 있습니다.

국내외 기준이나 관련 정책은 무엇인가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는 해산 어·패류(연체류 포함)와 담수어의 중금속 잔류허용기준을 총 수은 0.5 mg/kg 이하(심해성 어류 및 다량어류 및 새치류 제외), 메틸수은 1.0 mg/kg 이하(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에 한함)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는 상어, 황새치, 참치 등의 육식성 어류의 메틸수은 가이드라인 수준을 1 mg/kg, 그 밖의 다른 일반어류는 0.5 mg/kg으로 설정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04년 어류 중 메틸수은 최대 함량의 한계수준을 1 mg/kg으로 설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국가규격기준 및 규제최종 개정일(고시일, 작성일)
한국심해성 어류, 다랑어류 및 새치류: 메틸수은 1.0 mg/kg 이하2010년 현재
일본어패류(다랑어류[다랑어, 황새치, 줄새치] 및 내수면수역의 하천산 어패류에 한함. 심해성 어류는 제외): 메틸수은 0.3 mg/kg2010년 현재
EUML (maximum level): 연어류 500 μg/kg2008년 기준
캐나다식수기준: 0.001 mg/L(총수은)2010년 현재
미국- 어류, 패류, 갑각류, 기타 수생동물: 1 mg/kg(Action level)
- 식수기준: 0.002 mg/L(EPA-총수은)
- 병(생수): 0.002 μg/L(FDA-총수은)
2010년 현재
EPA: 2006년 8월
FDA: 2010년 현재

언론에 비친 메틸수은 이슈 사례

- 임신중 잦은 생선 섭취, 태아 위험할 수도(연합뉴스, 2012.08.15)
- 제수용 상어고기서 메칠수은 검출(식품음료신문, 2010.02.02)

※ 이 내용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0년 12월에 발간한 “유해물질총서”를 기초로 작성한 것입니다. 좀더 전문적이고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유해물질총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정보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