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육·가공육 섭취와 건강과의 관련성
적색육·가공육 섭취와 암 발생과의 관련성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적색육을 2A군(Group 2A) 발암물질로, 가공 육을 1군 (Group 1) 발암물질로 규정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적색육 ·가공육 섭취와 암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해 보고된 많은 연구결과들을 종합 적으로 평가하여 적색육·가공육 섭취와 발암성과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평 가한 것입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 중 일부는 암을 유발하거나 의심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 1군(Group 1) : 동물실험과 사람 대상 역학조사 결과 암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고 확실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분류되며, 대장암 발병에 관한 충분한 증거를 고려 하여 가공육 섭취를 ‘인체 발암 물질(Group 1)’로 분류하였습니다. 2A군(Group 2A): 동물실험 자료는 있으나 사람에게 암을 유발한다는 근거가 제한적일 경우에 분류되며, 적색육 섭취와 대장암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인체 발암 추정 물질 (Group 2A)’로 분류하였습니다.
국제암연구소의 발암성 물질 분류

적색육·가공육의 암 발생 관련 요인
식육은 가공 및 조리 과정에서 형성되는 화학 물질(발암성 화학 물질: N-니트로소화합물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적색육 또는 가공육을 조리 시 헤테로사이클릭아민 뿐만 아니라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를 포함한 기타 화학 물질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 중 일부는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의심되지만 적색육 또는 가공육으로 인해 어떻게 암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지에 관해서는 자료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가공육에는 식품의 색소를 유지 또는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색제(아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 변질을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존료(소르빈산, 인식향산 등) 등 다양한 식품첨가물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조리 시 또는 몸속에서 발암물질을 생성 할 수 있어 가공육을 과잉 섭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적색육 매일 100g 섭취시 대장암 위험을 17% 증가시킨다는 발표의 의미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적색육을 매일 100g 섭취했을 때 기존의 대장암 발생위험이 17% 증가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대장암 발생위험이 증가하다는 것으로 대장암 발생 가능성이 17%가 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즉, 기존의 대장암 발생 위험이 1%라고 가정하면, 적색육을 매 100g 섭취했을 때 대장암 발생 위험이 1.17%로 증가한다는 뜻입니다.
가공육을 매일 50g 섭취시 대장암 위험을 18% 증가시킨다는 발표의 의미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가공육을 매일 50g 섭취했을 때 기존의 대장암 발생위험이 18% 증가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대장암 발생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으로 대장암 발생 가능성이 18%가 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즉, 기존의 대장암 발생 위험이 1%라고 가정하면, 가공육을 매 50g 섭취했을 때 대장암 발생 위험이 1.18%로 증가한다는 뜻입니다.
대장암 발생위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