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로 인한 집밥 트렌드가 이어지면서 가격이 저렴하고 조리가 간편한 에어프라이어용 냉동 돈가스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다.
※ 냉동식품 시장은 2017년 2조 2,248억원에서 2022년 3조 4,506억원으로 5년간 55% 증가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은 냉동 돈가스 12개 제품의 품질(영양성분·맛 특성 등)과 안전성(미생물·중금속 등)을 시험·평가했다.
시험결과 냉동 돈가스는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지방과 단백질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탄수화물 함량은 적은 편이었다. 균형 잡힌 식사를 위해 밥과 샐러드를 곁들이면 영양소 구성을 고르게 보완할 수 있다.
조리된 돈가스에 대한 소비자 관능 평가 결과, 등심 돈가스는 `튀김옷의 바삭함', `고기의 부드러움' 항목에서, 치즈 돈가스는 `치즈의 쫄깃함', `치즈의 양' 항목에서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 제품>
유형
제품명
판매원
내용량
가격*
등심 돈가스
고메 통등심돈카츠
씨제이제일제당㈜
450g
8,893원
목우촌 두번 튀겨 더욱 바삭한 통등심돈까스
㈜농협목우촌
500g
10,480원
바로 바삭등심카츠
㈜아워홈
320g
8,800원
쉐푸드 등심통돈까스
롯데웰푸드㈜
300g
9,480원
퀴진 크리스피 돈까스 통등심
㈜동원F&B
480g
10,480원
풀무원 통등심돈카츠
풀무원식품㈜
450g
10,980원
피코크 맛있게 튀긴 두툼한 등심 돈까스
㈜이마트
600g
11,980원
홈밀 국산 돼지고기 통등심돈까스
홈플러스㈜
450g
9,900원
치즈 돈가스
고메 모짜렐라 돈카츠
씨제이제일제당㈜
450g
8,893원
노브랜드 통등심치즈돈까스
㈜이마트
450g
7,980원
퀴진 크리스피 돈까스 모짜렐라 치즈
㈜동원F&B
450g
10,480원
풀무원 블럭치즈돈카츠
풀무원식품㈜
420g
11,980원
* 판매원 확인 가격(2025. 7.)
≪ 항목별 주요 시험평가 결과 ≫
☐지방∙단백질 함량, 최대 1.5배 차이(세부내용, 8페이지)
냉동 돈가스(100g 기준)의 지방 함량은 등심 돈가스가 16~24g, 치즈 돈가스가 18~25g이었고, 단백질 함량은 각각 11~16g, 15~21g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방 및 단백질 함량은 동일 유형 제품 간 최대 1.5배 차이가 났다. 지방 함량은 등심 돈가스 중 `퀴진 크리스피 돈까스 통등심'(㈜동원F&B) 제품이 24g(44%,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비율)으로 가장 높았고, 치즈 돈가스는 `노브랜드 통등심치즈돈까스'(㈜이마트), `퀴진 크리스피 돈까스 모짜렐라 치즈'(㈜동원F&B) 2개 제품이 25g(46%)으로 가장 높았다.
단백질 함량은 등심 돈가스 제품 중에는 `목우촌 두번 튀겨 더욱 바삭한 통등심돈까스'(㈜농협목우촌), `홈밀 국산 돼지고기 통등심돈까스'(홈플러스㈜) 2개 제품이 16g(29%)으로 가장 높았다. 치즈 돈가스 중에는 `풀무원 블럭치즈돈카츠'(풀무원식품㈜) 제품이 21g(38%)으로 가장 높았다.
<냉동 돈가스 영양성분 함량(100g기준)>
제품 유형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열량
등심 돈가스
16~24g
(30~44%)*
11~16g
(20~29%)
12~21g
(4~6%)
248~344㎉
(12~17%)**
치즈 돈가스
18~25g
(33~46%)
15~21g
(27~38%)
10~20g
(3~6%)
286~365㎉
(14~18%)
*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비율(%)
** 19~29세 여성 기준 하루 에너지 필요 추정량(2,000㎉) 대비 비율
☐밥·샐러드 곁들이면 영양 균형 잡힌 식사 가능해(세부내용, 12페이지)
냉동 돈가스 섭취량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한 번에 1장'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0.5%로 가장 높았다. 돈가스 1장*(140g)에는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지방이 41~65%, 단백질이 27~53%로 높은 편이었으나 탄수화물은 4~9% 수준으로 낮았다.
* 시험대상 냉동 돈가스 제품 1장당 중량 평균(평균 이하로 작은 1개 제품 제외)
따라서 냉동 돈가스를 밥·샐러드 등과 함께 섭취하면 부족한 탄수화물과 식이섬유를 보충할 수 있어,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가 가능하다.
※ 소비자 설문조사(한국소비자원, 2025.2.) 결과 냉동 돈가스 섭취 시 밥·샐러드 등과 함께 먹는다는 응답률이 높았음.
☐제품 간 맛 특성 달라, 기호에 따라 선택 가능(세부내용, 13페이지)
소비자 패널을 대상으로 냉동 돈가스의 외관, 맛, 향, 조직감 등 제품별로 느껴지는 맛 특성을 비교하는 관능평가를 실시했다.
등심 돈가스의 `튀김옷의 바삭함, 고기의 부드러움, 고기의 두꺼움' 등의 항목에 대해 평가한 결과 `쉐푸드 등심통돈까스'(롯데웰푸드㈜) 제품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치즈 돈가스의 경우, `고기의 식감, 치즈의 쫄깃함, 치즈의 양' 등에 대해 `풀무원 블럭치즈돈카츠'(풀무원식품㈜) 제품의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냉동 돈가스 관능평가 결과>
제품
유형
제품명
맛 특성 평가 결과
튀김옷의 바삭함
고기의 부드러움
고기가 두꺼움
등심
돈가스
고메 통등심돈카츠
▨▨▨
▨
▨
목우촌 두번 튀겨 더욱 바삭한 통등심돈까스
▨▨
▨
▨▨▨
바로 바삭등심카츠
▨
▨▨
▨
쉐푸드 등심통돈까스
▨▨▨
▨▨▨
▨▨▨
퀴진 크리스피 돈까스 통등심
▨▨▨
▨
▨
풀무원 통등심돈카츠
▨▨▨
▨
▨
피코크 맛있게 튀긴 두툼한 등심 돈까스
▨▨
▨▨
▨▨
홈밀 국산 돼지고기 통등심돈까스
▨
▨▨
▨▨▨
제품
유형
제품명
맛 특성 평가 결과
고기의 식감
치즈의 쫄깃함
치즈의 양
치즈
돈가스
고메 모짜렐라 돈카츠
▨▨▨
▨▨
▨▨
노브랜드 통등심치즈돈까스
▨▨
▨▨
▨
퀴진 크리스피 돈까스 모짜렐라 치즈
▨▨
▨
▨▨
풀무원 블럭치즈돈카츠
▨▨▨
▨▨▨
▨▨▨
※ 냉동 돈가스 제품별 주요 맛 특성에 대한 평가 : ▨▨▨ 비교적 강함, ▨▨ 보통, ▨ 비교적 약함
☐ 전 제품, 안전성 관련 기준을 충족(세부내용, 15페이지)
조사대상 제품의 중금속(납, 카드뮴)과 미생물(장출혈성 대장균) 오염 여부를 시험한 결과,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냉동 돈가스에 사용된 고기의 신선도를 확인하기 위해 휘발성 염기질소*를 분석한 결과, 전 제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했다.
* 식육에서 부패세균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암모니아 등의 휘발성 아민으로 신선도의 지표로 사용
** 식육에 대한 휘발성 염기질소 규격 준용「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약처 고시 제2024-71호)
☐ 가격은 동일 유형 제품 간 최대 1.6배 차이나(세부내용, 16페이지)
조사대상 냉동 돈가스 제품 100g당 가격은 등심 돈가스가 1,976~3,160원, 치즈 돈가스가 1,773~2,852원으로 동일 유형 제품 간 최대 1.6배 차이가 났다.
등심 돈가스는 `고메 통등심돈카츠'(씨제이제일제당㈜) 제품이 1,976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쉐푸드 등심통돈까스'(롯데웰푸드㈜) 제품이 3,160원으로 가장 비쌌다.
치즈 돈가스는 `노브랜드 통등심치즈돈까스'(㈜이마트)가 1,773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풀무원 블럭치즈돈카츠'(풀무원식품㈜) 제품이 2,852원으로 가장 비쌌다.
<한국소비자원의 냉동돈가스 구매‧선택가이드>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냉동식품의 품질과 안전성 정보를 `소비자24(www.consumer.go.kr)'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붙임
1. ’냉동 돈가스 품질비교 시험평가‘ 결과
2. 구매 및 섭취 가이드
3. 종합결과표
2025.09.17
상세보기
국내뉴스
[▶] 비브리오패혈증 발생 증가, 고위험군 주의 필요(9.16.화)
※ 본 서비스는 크롬, 엣지, 안드로이드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비브리오패혈증 발생 증가, 고위험군 주의 필요
-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이 8월 이후 증가함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간 질환자, 당뇨병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각별한 주의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올해 8월 이후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2025년 발생신고: 5월 1명 → 6월 2명 → 7월 2명 → 8월 14명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해수 온도가 상승하는 8~10월 사이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비브리오패혈증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된다.
감염시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되고, 증상 시작 24시간 내에 다리에 발진, 부종, 수포(출혈성) 등의 피부병변이 생긴다.
< 주별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추이, (‘25.8.31. 기준; 명) >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누적 환자는 19명(사망 8명)으로 ’24년 동기간 누적(21명) 대비 9.5% 감소 하였으나, 여전히 치명률은 42.1%로 높았으며, 사망한 환자들은 모두 간 질환, 악성종양, 당뇨병 등 기저질환을 가진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이었다.
만성 간 질환, 당뇨병, 알코올 의존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비브리오패혈증의 고위험군으로,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을 피하고 어패류는 반드시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간 질환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알코올의존자, 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 악성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환자, 장기이식환자, 면역결핍 환자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서는 어패류, 게, 새우 등 익히지 않은 음식 섭취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간 질환, 당뇨병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각별히 숙지하고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 어패류는 5도 이하로 저온 보관한다.
◇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동안 더 끓이고, 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 이상 더 요리해야 함
◇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붙임>
1. 비브리오패혈증 개요
2.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통계
3. 질의응답
4. 비브리오패혈증 카드뉴스
2025.09.17
상세보기
공지사항